![](https://blog.kakaocdn.net/dn/cS8qKc/btq4F7n1690/sjzZKsnN30CPK6lK1OEapK/img.jpg)
지난해 잔뜩 움츠렸던 ‘화학 5형제’가 역대급 실적으로 돌아왔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올 1분기 LG화학(1조 4081억원)과 금호석유화학(6125억원), SK케미칼(730억원)은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갈아치웠고, 롯데케미칼(6238억원)과 한화솔루션(2546억원)은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전반적인 제품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게 주효했다. 우선 코로나19 수혜를 직접 받은 위생용품 (NB라텍스) 수요가 지난해부터 꾸준히 이어졌다.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가전, 게임, 텔레비전 등에 쓰이는 고부가합성수지(AB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판매도 늘어났다.
이외에도 건축자재, 포장재, 일회용품 등에 쓰이는 제품들도 호실적을 이끌었다.
올해 초 미국을 강타한 한파와 여기에 따른 석유제품 공급 차질도 수익성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는 일단 올 2분기까지는 호성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그 이후는 장담하기 어렵다. 최근 업계의 경쟁자가 늘어나고 있어서다.
석유화학 사업과 가장 가까운 정유업만 영위했던 전통 정유사들이 속속 ‘탈(脫)정유’를 외치며 석유화학 사업에 공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에쓰오일은 앞서 5조원을 들인 석유화학 복합시설 (RUD&ODC)을 완공한 데 이어 최근 ‘샤힌(매)프로젝트 라는 이름의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약 6조~7조원 규모로 올 하반기쯤 본격화할 전망이다.
GS칼텍스는 2조 7000억원을 들인 올레핀 생산시설(MFC), 현대오일뱅크도 2조 7000억원을 투자한 중질유 석유화학 시설인 HPC 프로젝트가 각각 마무리돼 올 하반기 상업가 동을 시작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유사들까지 화학사업에 뛰어들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일부 제품은 공급 과잉까지 우려되는 상황" 상황”이라면서도 "기존 화학사들은 배터리 소재, 생분해 플라스틱, 수소 등 친환경 고부가가치 제품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차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환율속에서도 사들이는 외인들 (0) | 2022.07.19 |
---|---|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 백신 만든다 위탁생산 예정 (0) | 2021.05.12 |
해시드,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피니티에 투자 (0) | 2021.05.11 |
삼성전기 연매출 9조원 돌파 예상 영업이익도 1조원대 회복 (0) | 2021.05.11 |
포스코ICT등 6개종목에 대한 공매도 거래 11일 하루 금지된다. (0) | 2021.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