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14 서학개미 투자자 한숨. 나스닥 상승분 전부 반납하고 마이너스로 돌아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발언이 몰고 온 미 국채금리 급등 탓에 기술주 위주인 나스닥지수가 올해 상승분을 전부 반납하고 마이너스로 돌아서면서 기술주를 주로 매수해온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한국 개인투자자) 투자심리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나스닥지수는 전날보다 2.11% 떨어진 1만2723.47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지난해 12월 31일 시세(1만2888.28)보다 낮아져 올해 마이너스 수익률로 돌아섰습니다. 세계 시가총액 1위 애플과 자동차업계 시총 1위 테슬라 등 미국 대형 기술주가 급락한 탓이라고 합니다. 기술주 투자를 선호해온 한국 서학개미들은 평가 손실을 입거나 평가 이익이 줄어드는 상황을 맞았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 매수 동향을 .. 2021. 3. 5. 국민연금 국내 주식 투자 늘리기 검토중 국민연금이 그동안 비중을 줄여온 국내 주식 투자 전략 변경을 전면 검토하기로 했다. 국민연금의 투자처인 코스피가 단기 급등이 아니라 중장기에도 안정적인 상향세를 유지한다면 투자 비중을 줄이지 않고 늘린다는 뜻이다. 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투자정책전문위원회는 오는 2022~2026년 중기자산배분을 논의하는 태스크포스(TF)에 이 같은 내용을 의제로 올렸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항공모함(국민연금)의 항로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면서 “당장 여론을 의식해 국내 주식 매도 목표를 줄이 는 것보다 국내 주식 배분을 축소해온 수년간의 자산배분 전략을 재검토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필요하면 5월 기금운용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올해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국민연금은 지.. 2021. 3. 5.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구매 장기계약 형태로 바꾼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구매를 입찰 경쟁식 무계약 단기 수급 방식에서 장기계약 형태로 바꾼다. 이에 따라 반도체 호황으로 급격한 성장세를 구가하던 국내 소재·부품·장비 장비업체 성장에 더할 나위 없는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5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에 따르면 양사 구매팀은 밀려드는 주문 폭주와 코로나 국경봉쇄, 한일 무역전쟁으로 인한 반도체 원자재 수급난에 기존 구매 방식을 폐기하고 계약 방식을 완전히 바꾼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불안정한 반도체 원재료 수급 때문에 장기적으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모두 공장을 안정적으로 돌리는 것조차 걱정되는 상황”이라며 “이에 기존 방식의 구매를 포기하고 3~5년 장기계약으로 선회했다”고 말했다. 기존 구매 방식은.. 2021. 3. 5.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2023년까지는 기준금리 인상하지 않을것" 전망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적어도 2023년까지는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전망했습니다. 이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연준의 조기 금리 인상 전망을 일축하는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3일(현지시간) 하커 총재는 인터뷰에서 ‘채권시장이 연준의 첫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내년 중으로 가격에 반영하기 시작했다’는 질문에 대해 대답을 했습니다. 그는 “(연준 전체가 아닌) 나 개인적인 생각만을 얘기할 수밖에 없다”고 전제하면서 “개인적으로는 연준이 적어도 2022년에는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 경제가 (완전한 회복까지) 앞으로 가야할 길이 멀다고 본다”고 했습니다. 금리가 인상되지 않는다면 주식 시장도.. 2021. 3. 4. 이전 1 2 다음